헬로, 릴로 53

이용 경험을 향상시키는 푸시 알림 활용법 8가지

푸시 알림은 사용자와 소통하고 앱 사용을 유도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잘못 디자인된 알림은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올 수 있고 잠재적인 앱 삭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서비스 이용 경험을 향상시키는 푸시 알림을 만들기 위해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중요한 요소를 알아보겠습니다. 1. 가치 제공 푸시 알림의 가장 중요한 측면은 사용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사용자는 유용하거나 관련성이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에, 알림이 사용자에게 유익하고 흥미로운 내용을 담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알림이 사용자의 일상생활과 상황에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고려해야 합니다. 2. 워딩은 짧고, 핵심적으로 사용자는 긴 메시지를 읽을 시간이 없으므로 가능한 빠..

인사이트 2023.04.14

브랜드의 푸시 알림 성공 사례 | 푸시 알림의 모든 것

지난 아티클 바로가기 ⤵️ 웹 앱 푸시 알림이란? | 푸시 알림의 모든 것 여러 브랜드에서는 CRM 마케팅을 위해 푸시 알림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세계적인 기업들의 다양한 푸시 알림 사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푸시 알림 활용 사례 Dominos Pizza 도미노피자는 푸시 알림을 활용하여 고객의 주문 경험을 개선하였습니다. 고객이 앱을 이용하여 피자를 주문 시, 피자가 배송되는 상태를 알려주는 푸시 알림을 보내주었습니다. 이로 인해 고객은 주문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주문이 제대로 접수되고 제작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 고객 만족도가 높아졌습니다. Sephora 세포라는 새로운 상품이 출시되면 알림을 보내어 고객이 최신 트렌드에 대해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인사이트 2023.04.14

웹 앱 푸시 알림 | 이커머스에서 푸시 알림이 꼭 필요한 이유

앱 푸시 알림이란? 앱 푸시 알림은 모바일 앱에서 사용자에게 짧은 메시지, 아이콘 또는 사운드를 통해 알림을 전송하는 기능입니다. 이러한 알림은 사용자가 앱을 열어서 확인하지 않아도 홈 화면 또는 잠금 화면에서 알림이 표시됩니다. 이는 앱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일 때에도 알림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앱 외부에서도 중요한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앱 푸시 알림은 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앱의 활동을 알리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앱에서 새로운 메시지가 도착하거나, 쇼핑 앱에서 할인 정보가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낼 수 있습니다. 또한, 일정 관리 앱에서 다가오는 일정을 상기시키는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앱 푸시 알림은 사용자가 앱을 더 자주 사용하고, 사용자 ..

인사이트 2023.04.14

이렇게 보내면 안 됩니다!🙅‍♀️ - 잘못된 광고메일, 푸시 알림 사례

우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광고성 메일, 웹 / 앱 푸시 알림을 보낼 때 어떻게 보내고 있나요? 메일 제목에는 "광고" 표기를 하고 있나요?, 밤 10시가 넘은 늦은 시간에 푸시 알림을 보내지는 않았나요? 개인정보의 중요성이 사회 전반적인 이슈로 떠오르면서 몇 년 전에는 문제없다고 생각했거나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던 광고성 정보에 대한 발송 방법에 위반 사례들이 하나둘씩 나타나고 있는데요. 오늘은 광고성 메일, 웹 / 앱 푸시 알림을 보낼 때 가장 많이 실수하는 사례들과 그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웹 사이트에 공개된 개인정보를 사용해 문자를 발송하는 경우 A 업체는 구직 사이트에 게시된 휴대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자사 서비스 광고 문자를 보냈는데요, 이렇게 공개된 개인 정보를 사용해 광고 문자..

인사이트 2023.04.14

최신 이커머스 온라인 쇼핑몰 트렌드 💌

새해를 맞아 다양한 분야에서 온라인 쇼핑몰을 오픈하고 앱 제작을 희망하는 분들이 많아졌는데요, 새롭게 사업을 시작하는 이커머스 사장님들을 위해 2022년 한 해 동안의 온라인 쇼핑몰 트렌드를 준비했습니다. 이커머스의 41.4%는 자사몰에서 시작 온라인 쇼핑몰을 처음 시작할 때 주로 자사몰,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SNS 판매 등 다양한 판매 채널을 고려하는데요. 식스샵의 통계에 따르면 자사몰이 41.4%,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가 24.1%, SNS가 22.4%로 자사몰을 통한 판매가 가장 많았습니다. 51.7%는 자사몰 외 다른 판매처를 병행 자사몰을 운영하는 이커머스의 51.7%는 자사몰 외 다른 판매처를 병행하고 있는데요, 이커머스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인지도가 부족한 경우 자사몰 외 온라인 ..

인사이트 2023.04.14

'D2C' 이커머스에서 꼭 필요한 충성 고객 확보 2탄

이번 시간에는 D2C 이커머스에서 꼭 필요한 충성 고객 확보 2탄을 준비했습니다. 📌 'D2C' 이커머스에서 꼭 필요한 충성 고객 확보 1탄 지금은 고객 유지 전략을 실행해야 할 때 대한민국 이커머스의 대부분은 아직까지도 고객 유치에만 집중하고 있을 뿐, 고객 유지 전략을 제대로 실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비즈니스가 어느 정도 규모로 성장했다면 ‘고객 유입 전략’에서 ‘고객 유지 전략’으로 초점을 변경하는 게 필요합니다. 신규 고객 유입 대비 기존 고객 유지 비용은 약 5배가량 마케팅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입니다 재구매 고객의 평균 LTV, 신규고객보다 4.8배 더 높아 전체 업종의 재구매 고객 평균 LTV(*고객 생애 가치) 는 신규구매 고객 대비 4.8배가량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요. 이커머스의 성장..

인사이트 2023.04.14

'D2C' 이커머스에서 꼭 필요한 충성 고객 확보 1탄

D2C(direct to consumer) D2C는 제조업체가 높은 플랫폼 수수료 부담에서 벗어나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유통 단계를 줄여 자사 온라인몰 등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을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나이키는 2019년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 입점 중단을 선언하며 자사몰 비중을 늘렸고 이외 널디, 메디큐브, 에이프릴스킨 등을 운영하는 국내 D2C 대표 기업은 기록적인 호실적으로 2022년 연간 영업이익 300억 원 돌파를 기대하고 있으며, 한국요구르트의 자사몰 '프레딧'은 2021년 매출액 700억 원을 달성하여 첫 자사몰 매출액(2017년, 70억 원)과 비교해 10배가량 늘어나기도 했습니다. 왜 ‘오픈마켓’이 아닌 ‘자사몰’을 선택하는 걸까요? 유통채널에 지불하는 수..

인사이트 2023.04.14

콜드 메일 뜻, 제안서 예시 작성 / 보내는 법

콜드 메일 (Cold Mail) 📨 아직 상대방과 따뜻한 관계가 형성되지 않은(서로 만난 적이 없는) 차가운 상태에서 새로운 기회를 얻기 위해 상대방에게 메일을 보내는 것을 콜드 메일이라 표현합니다. 스타트업 / B2B 서비스를 만드는 기업이 투자를 받기 위해, 새로운 고객사를 찾기 위해 메일을 보내거나 구직자가 새로운 기회를 얻기 위해 업계 관계자에게 연락을 보내는 것 등을 모두 콜드 메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콜드 메일 작성 TIP! ✍️ 1. 눈에 띄는 제목 우리는 하루에도 수많은 메일을 받고 있기 때문에 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제목을 만들어야 하는데요, 수신자의 이름, 회사명을 불러 개인화된 메일을 보내는 것은 물론 수신자가 관심을 가지 말한 제목으로 간결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2. 소속을 정확히..

인사이트 2023.04.14

앱 개발을 위한 모바일 앱 종류 - 네이티브 앱, 웹앱, 하이브리드 앱 차이/장점/단점

우리 쇼핑몰의 모바일 앱 개발을 앞두고 있다면 모바일 앱의 종류를 알아야 할 텐데요, 모바일 앱은 총 3가지 종류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네이티브 앱 (Native APP) 네이티브 앱이란? 우리가 흔히 아는 안드로이드나 IOS 용으로 나눠서 만들어진 앱으로 각각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언어를 이용해서 만들어진 앱입니다. 대표적인 네이티브 앱으로는 카카오톡,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이 있습니다. 네이티브 앱 장점 1.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언어로 개발되어 반응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입니다. 2. 카메라, 음성인식과 같은 스마트폰 기능과 2D, 3D 등의 기능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네이티브 앱 단점 안드로이드와 IOS 용 앱을 각각 따로 개발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개발 난이도가 높습니..

인사이트 2023.04.14

구글 검색에서 상위 노출하기! - SEO 콘텐츠 작성

SEO(검색엔진 최적화)란? ‘Search Engine Optimization’ 또는 ‘Search Engine Optimizer’의 약자로, 검색엔진에서 검색이 잘 되게 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즉 홈페이지의 구조와 페이지를 개발해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SEO 콘텐츠 작성을 위한 6가지 방법 🔖 구글은 홈페이지 관리자를 위한 ‘웹마스터’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 도구를 통해 현재 구글 검색엔진이 자신의 홈페이지 콘텐츠를 어떻게 수집해가고 있는지, 각 페이지에 인덱싱이 잘 되고 있는지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HTTPS 사용 권장 동일 사이트라면 http로 서비스하는 것보다, https로 서비스할 경우 구글 검색엔진에서 전체 점수의 약 1% 정도에 해..

인사이트 2023.04.14